
오는 7월부터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청년들이 만 2년을 근무하면 최대 900만원을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27일 국회에서 김정훈 정책위의장 주재로 당정협의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청년·여성 일자리 대책을 마련했다고 김광림 정책위 부의장이 전했다.
당정은 앞으로 중소기업에 인턴을 거쳐 정규직으로 취직하는 청년이 만 2년을 채워 근무할 경우, 본인이 2년 동안 총 30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600만원, 기업이 300만원을 지원함으로써 이자 포함 1200만원 이상의 자산이 형성되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구직난에 고통받는 청년 취업자, 구인난과 조기 이직에 시달리는 중소기업의 ‘미스 매칭’을 해소하고,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대책이다.
일단, 당정은 300억원의 예산을 배정, 중소기업 청년 취업자 1만명으로 대상자를 한정하되, 앞으로 지원 대상 청년을 5만명으로 늘려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당정은 청년들의 대학 학자금 대출을 연장하고 이자를 낮추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당정은 육아 휴직과 관련, 출산 후에만 가능했던 육아 휴직을 임신기부터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 기간을 늘리기로 했다. 이는 임신부뿐 아니라 남성 배우자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고 김 부의장은 설명했다.
또 취업 경력이 단절된 여성을 고용하는 중소기업에 대해 세제 혜택을 늘리기로 했다. 당정은 정부가 창조혁신센터, 고용복지센터 등의 기반시설을 활용해 취업·고용 정보와 중개를 직접 맡는 방안도 시행하기로 했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당정협의회에서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매월 청년채용을 위한 행사를 개최해 지역의 기업과 구직자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기존의 인턴지원 제도를 보완해서 청년들이 중소기업에 가게 되면 2년간 정부지원, 기업지원을 포함해 ‘1200만원+알파’가 모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17개 시·도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전국에 있는 고용복지센터 등 어딜 가든 상담과 훈련, 취업알선 등의 서비스를 똑같이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워크넷을 통해서 정부지원 사업에 신청할 수 있도록 보강해가겠다”고 설명했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창업과 중소기업 지원 외에 취업의 창구로 활용해야겠다는 목표가 세워졌다”며 “오늘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첫 번째로 청년창업을 위한 기업과 청년들의 만남의 장을 만든다. 이러한 것을 전국 17개 센터에서 1년간 200여 차례 하게 된다”고 소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