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들과 차량 절취할 것을 공모 합동하여 노상에 주차된 차량의 열쇠를 절취한 후 시동을 걸고 운전하여 가는 방법으로 차량을 절취한 특수절도 대상자(내담자A) 사례입니다.
A의 가정환경은 조손가정으로 가족은 할아버지와 둘이 지냅니다.
여러 지방으로 다니며 일하는 아버지는 한두 달에 한번 볼 수 있으나. 첫 돌 무렵 집을 나간 어머니에 대한 기억(얼굴, 목소리 등)은 아무것도 없고 지금까지 연락 두절입니다. 중1 무렵 어머니가 오래전에 재혼한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초기 면담 후 특이 사항은 일주일에 4~5회 친구들과 술을 마시는데 술을 마시는 장소가 집이라는 점이었습니다.
다음 날 뜻 밖에 충북에 사는 고모 내외가 상담실을 방문하여 A의 안타까운 환경을 전했습니다. 엄마손을 대신하여 보살펴 주던 할머니마저 십여년 전 집을 나가신 후 알콜중독으로 술을 마시지 않으면 일상생활조차 어려운 할아버지와 단 둘이 산다고 합니다.
집안에는 항상 술이 있고, 불량친구들과 어울려 술 마시는 행동을 통제하고 돌봐주는 가족이 곁에 없다고 합니다.
열 여섯살 청소년 A는 가족의 사랑을 어떤 색으로 그릴까…
만남 2
지각횟수가 누적되어 10일간 출석정지 징계로 학교에 나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도 없고 용돈(한달5만원)도 떨어져 친구들을 만나도 받기만 하는 것 같아 부담스럽고 답답하며 의욕을 잃고 무기력해 합니다.
징계가 끝난 후 학교부적응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무기력탈출 방법을 모색했는데
오직 ‘돈’이 전부입니다.
돈이 필요한 여러가지 이유가 있으나 가장 큰 이유는 학교근처에 자취방을 얻어 지각하지 않고 출석하여 무사히 졸업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했습니다.
A와 함께 자취의 실상과 허상, 장단점을 모두 찾아 적으며 해답을 구했습니다.
장고 끝에 A 스스로 찾은 해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30분 일찍 일어나자‘
‘주말에만 술 마시자’
만남 3
꿈을 향한 비전 찾기
A의 꿈은 돈을 많이 벌어 멋진 옷을 사 입고 저축도 하며 행복하게 살기를 원하는데 직업은 갖지 않고 ‘알바’만 하는 겁니다. 결혼해서 아이들이 20세가 될 때까지는 쉬지 않고 열심히 일(편의점, 택배…)하고 노후에는 자녀에게 의탁해 쉬면서 편안하게 지낸다는 생각입니다.
일과 직업의 차이, 다양한 직업의 종류를 알려주고 좋아하는 일, 잘하는 일을 탐색하여 동기를 나에게 맞는 직업을 선택했습니다.
용접, 중장비, 자동차정비에 흥미가 있고 적성검사에서 자동차정비가 높게 나타났습니다. 직업탐색으로 생애단계(단기, 중기, 장기) 목표를 정하고 자동차직업전문학교에서 장학금을 받으며 자격증을 취득한다는 것에 상당히 고무된 모습입니다.
만남 에필로그
<A의 각오>
나는 이번 상담으로 현재 나의 상황과 미래에 대해 심각한 점을 많이 느꼈습니다.
선생님과 상담하며 담배와 술을 줄이고 앞으로 학교생활에 대한 나의 각오를 더욱 단단히 굳히게 해주셨고 꿈이 없고 길이 보이지 않던 내게 꿈을 심어주시고 미래의 꿈을 결정하는데 큰 도움을 주셨습니다. 나는 이 상담으로 많은 것이 바뀌었고 앞으로 절대 사고치지 않고 미래에 대해 생각하며 열심히 노력하고 살겠습니다.
꿈은 꿈을 꾸는 사람만이 이룰 수 있다.
상담약속 잘 지켜주어 고맙다.
멋진 대표로 만날 그날을 위해 너의 꿈을 항상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