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용수 위안부 할머니의 정의연에 대한 비정상적인 운영 실태 폭로로 세상에 얼굴을 드러낸 정의연이 그동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왔다는 의혹이 가셔지지 않은채 위안부 할머니에 대한 정당치 못한 처우에 그치지 않고 운영상의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는 형세다.
또 이 문제를 둘러싸고 이 사건의 중심 선상에 있는 윤 미양 국회의원 (전 정의연 대표)의 행태에 대한 시비가 두 갈래로 나뉘어져 제 2의 조국 사태를 연상케 한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지난 주엔 시민단체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92)의 정부 지원금 관련 의혹에 대해 대검찰청에 수사를 의뢰하므로써 검찰의 수사결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법치주의 바로 세우기 행동연대(법세련)는 길 할머니가 정부와 서울시로부터 매달 받은 지원금이 다른 계좌로 이체된 의혹과 관련해 횡령·배임·사기의 가능성이 있다며 대검에 수사를 의뢰했다.
법세련은 이어 "길 할머니가 받은 지원금을 동의 없이 임의로 사용했다면 횡령죄 또는 배임죄 성립 가능성이 있다. 또 길 할머니를 기망해 기부금을 사용했다면 사기죄도 성립할 수 있다"며 "지원금을 누가 어떻게 썼는지 수사를 의뢰한다"고 설명했다. 길 할머니는 '평화의 우리집'에서 손영미 소장의 도움을 받아 생활해오다가 지난 11일 쉼터를 떠나 양아들 황모씨 내외와 함께 살고 있다.
정의연 측은 일부 언론의 이런 의혹 제기에 활동가와 피해 생존자 가족 간 갈등을 조장하고 고인의 명예를 훼손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황씨 측의 주장하는 항목에 대한 사실이 아닌 몇 사례를 들어 반박하고 필요한 경우 검찰에 자료를 제출하겠다고 말했다.
우리는 황씨 측과 정의연 측의 서로 다른 주장을 어느 한쪽이 거짓이라고 단정할수 없다. 그러나 30년 이상 쉼터 소장을 맡아온 손 영미씨가 황씨 측으로부터 통장 계좌 요구를 받고 목숨을 끊은 것과 길 할머니의 유언장에 윤미양 의원이 등장한 배경등에 합리적인 의심을 갖게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것이 검찰수사에서 밝혀지겠지만 그에 앞서 양측이 서로의 증빙서류를 확인하여 세간에 나도는 유언비어를 불식 시키는것도 바람직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