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5-04-08
HOME > 오피니언 > 사설
 

일선 검찰청 중간간부층의 조직개편

전국 최대 검찰청인 서울중앙지검의 차장검사를 현재 3명에서 4명으로 늘리는 등 검찰중간 간부층을 중심으로 하는 조직개편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또 서울중앙지검의 금융·증권 범죄 수사 기능을 이관받는 서울남부지검 등에도 2차장검사직을 신설하는 등 검찰의 전반적인 조직 개편 작업이 추진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법무부는 최근 검사 정원을 350명 늘리는 법안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후속 조치로 검찰 조직 개편안을 행정자치부와 협의하고 있는데 업무 여건 등을 감안할 때 중간 간부인 일선 검찰청 차장검사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검찰 안팎에서 다양한 조직 개편안이 제시돼 왔었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폐지와 함께 특정 범죄 수사 중점 검찰청 제도 등이 시행됨에 따라 일선 검찰청 역량 강화 방안이 가장 큰 화두였다.
이에 따라 법무부와 검찰은 지난해부터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를 지방 검찰청으로 보임하는 이른바 ‘하방 인사’ 등을 실시했다.
대검찰청은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 1·2부를 서울남부지검으로 이관하고, 울산지검을 산업안전 중점 검찰청으로 지정한다고 이미 발표한바 있다. 서울서부지검은 식품 범죄 중점 검찰청으로 이미 지정돼 있고, 동부·북부지검도 앞으로 특정 범죄 중점 검찰청으로 지정될 예정이다.
주요 사건이 몰리는 서울중앙지검의 경우 1차장검사 산하에 무려 83명의 검사가 근무하고 있다. 10개 부서의 수사를 지휘해야 하기 때문에 사건 처리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사건이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전문성이 필요한 점도 조직 개편이 필요한 이유다. 디지털 포렌식 기법을 활용한 수사가 필수인 경우가 많아지면서 대검 소속 과학수사기획관실을 확대 개편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기자 : 법률선진신문    작성일 : 15-01-09 10:58
 

 
   
 


기업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