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0년~2015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경추간판장애(목디스크)’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적용 인구의 진료인원수는 2010년 69만9858명에서 2015년 86만9729명으로 5년간 16만9871명(24.3%)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진료비는 1666억원에서 2260억원으로 35.6% 증가했다.
|
 |
|
▲ 그래프1. 최근 6년 ‘경추간판장애’ 진료인원수 | 2015년 기준, 경추간판장애로 진료받은 남성 환자 수는 38만3천명으로 2010년 29만7천명 대비 8만6천 명(29.0%)이 증가했고, 여성 환자 수는 2015년 48만6천명으로 2010년의 40만2천명 대비 8만3천명(20.8%) 증가했다.
또한, 전체 86만9천명 중 남자 진료인원수는 38만3천명으로 전체 진료인원수 중 44.1%를 차지했고, 여자 진료인원수는 48만6천명으로 55.9%를 차지해 여성 환자수가 남성 대비 10% 가량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외과 장호열 교수는 남성에 비해 여성의 경추간판장애 환자수가 많은 이유에 대해서 “여성이 남성보다 체형이 작고, 근력이 약해 목의 근육량이 적다. 따라서 경추부의 충격이나 운동 시에 경추간판에 도달하는 하중이 남성이 견딜 수 있는 하중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여성에서 경추간판 장애가 남성보다 높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15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수를 분석해 본 결과, 50대가 53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40대 369명, 60대 340명 순으로 나타났다.
|
 |
|
▲ 그래프2. 2015년 인구 10만명당 ‘경추간판장애’ 진료인원수 | 장호열 교수는 50대의 경추간판장애 환자수가 특히 많은 이유에 대해서 “30~40대에는 무리한 운동이나 잘못된 자세로 인해서 경추간판장애가 오지만 30대 중반부터 시작되는 퇴행성 변화가 50대에 가장 심해져서 환자가 제일 많다”고 말했다.
2015년 1인당 진료비를 분석해 본 결과, 높은 연령대일수록 진료비가 높은 경향을 보였고, 낮은 연령대일수록 작은 경향을 보였다. 특히, 80세 이상 연령대에서 28만1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50대 27만7천원, 70대 27만2천원 순이었다.
또한, 2010년 대비 2015년 1인당 진료비 증가율은 10대에서 2만원 증가해 19.6%의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뒤이어 20대가 1만9천원 증가한 13.1%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장호열 교수는 저 연령대 중에서도 10대 및 20대의 경추간판장애 1인당 진료비 증가율이 높은 이유에 대해 “성장이 10대 말에 끝나고 근육의 힘이 아직 완전하게 성숙되지 않아서 경추간판의 탈출을 예방할 정도의 근력 발달이 미비한 상태에서 사회 초년생으로 일을 하게 되면, 스포츠, 노동 등의 근력 사용이 늘어나기 때문이며 또한,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지나친 IT 기기 사용으로 인해 잘못된 자세로 목에 무리가 가는 것도 원인이다”라고 설명했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6년의 경추간판장애 진료인원의 월별 평균 진료추이를 분석한 결과, 5년간 평균치를 기준으로 7월 13만6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3월 13만6천명, 4월 13만4천명, 8월 13만3천명 순이었다.
|
 |
|
▲ 그래프3. 최근 6년 ‘경추간판장애’ 월별 진료인원수 | 장호열 교수는 최근 5년간 3월과 7월에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서 “겨울철에 외부활동을 삼가다가 날이 풀리면서 외부 활동을 하면서 미끄러짐 등의 가벼운 외상이나, 갑작스런 운동으로 인한 경추부의 외력 증가가 원인으로 생각되며, 7월 역시 물놀이 등의 활동이 많아지면서 스포츠 활동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 된다”고 전했다.
최근 5년간 경추간판장애 환자의 입원‧외래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입원환자는 2010년 3만5천명에서 2015년 7만9천명으로 4만3천명 증가해 121.3% 증가율을 보여 이는 외래환자 진료실인원 증가율인 22.8%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
|
▲ 그래프4. 최근 6년 ‘경추간판장애’ 진료현황 및 2015년 진료비 구성비 | 2015년 기준으로 진료비를 분석해 보면, 전체 진료비(2259억원) 구성 중 56.5%(1276억원)가 외래진료비로 나타났다. 입원진료비는 31.6%(713억원), 약국은 11.9%(269억원)의 순이었다.
2010-2015년 6년의 평균 입내원일수를 분석해 본 결과, 외래환자의 평균내원일수는 2010년 5.8일에서 2015년 5.1일로 약 0.7일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원환자의 평균입원일수도 2010년 14.0일에서 2015년 7.7일로 평균 6.3일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그래프5. 최근 6년간 ‘경추간판장애’ 평균 입내원일수 | 목디스크를 예방하려면 목의 자세를 평소 바르게 하고 고개를 약간 드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컴퓨터 작업 시 모니터는 눈높이로 하며 거북이목처럼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평소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하거나 스마트폰을 오래 본다면 자주 스트레칭을 해 목 뒷부분 및 어깨 근육을 풀어주어 만성적인 통증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